google-site-verification=uKVjxupJIDZVG5ngJ9Iqn1cA9QmM3msmRbjqzVOv7BE 엄마가 해주는 한식 집밥 메뉴 중 조심해야 하는 메뉴 2탄
본문 바로가기
다이어트팁

엄마가 해주는 한식 집밥 메뉴 중 조심해야 하는 메뉴 2탄

by 다이어터리나 2024. 4. 1.
728x90

나는 다이어트 중에는 쌀을 잘 먹지 않지만, 그래도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한식이다. 

우리가 자주 해먹는 한식 집밥 메뉴들이 건강과 다이어트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해졌다. 

그래서 이전에 이와 관련한 포스팅을 진행하였다. 

엄마가 해주는 한식 집밥 메뉴 중 조심해야 하는 메뉴 (tistory.com)

 

엄마가 해주는 한식 집밥 메뉴 중 조심해야 하는 메뉴

나는 요리를 너무 좋아한다. 자취를 처음 했을 때에는 요리를 할 줄 모르고, 간단한 조리 도구나 양념류도 없어서 편의점 음식으로 식사를 하곤 했다. 하지만, 지금은 자취한 지 10년이 넘었고,

diet-tip-rina.tistory.com

오늘은 계속해서 한식 집밥 메뉴 중 조심해야 하는 메뉴에 대해서 다뤄보기로 하였다. 

한식 집밥 메뉴 중 조심해야 하는 메뉴

1. 떡볶이

떡볶이는 사실 집밥 반찬은 아니지만, 별미로 자주 해 먹는 음식이다. 

밀가루나 쌀가루로 만든 떡이 주재료이며, 떡은 정제된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열량이 높고, 혈당을 빠르게 높이고, 인슐린을 급하게 분비하여, 다시 혈당을 빠르게 떨어트리는 과정에서 이것이 지속되면 살이 잘 찌는 체질이 되고, 당뇨에 걸릴 위험을 높인다. 

어묵은 연육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 단백질이 들어있지만, 기본적으로 튀긴 음식이기 때문에 트랜스 지방이 함유되어 있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며, 시중에 어묵은 식품 첨가물이 들어있다. 

각종 채소들과 달걀이 들어가면 식이섬유와 비타민, 무기질,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떡과 어묵의 양이 많은 편이고, 이에 면 사리, 당면 사리 등을 추가하면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달고 짠 양념 때문에 나트륨과 당이 상당히 높은 편이니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배달 떡볶이나 음식점에서 사 먹는 떡볶이는 더욱 더 간이 쎈 편이니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음식은 살을 찌게 할뿐만 아니라 부종과 셀룰라이트를 유발하고, 체내 염증 수치를 높인다. 

 

2. 카레라이스

카레는 기본적으로 강황이 주재료이기 때문에 항산화 작용을 하고, 항염증 효과와 암을 예방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카레 자체를 다양한 채소, 고기들과 먹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카레라이스 형태로 흰 쌀밥을 카레보다 많이 넣어서 먹는데, 흰 쌀밥은 정제된 탄수화물이 주를 이루고 있어 혈당을 빠르게 올리고, 빠르게 떨어트려 살이 잘 찌는 체질이 되게 만든다. 

또한, 우리나라의 카레는 감자를 듬뿍 넣고 만들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카레라이스를 먹을 때 우리는 김치를 함께 먹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게 될 가능성을 높인다. 

3. 김밥

김밥은 정제된 탄수화물인 흰 쌀밥이 주재료이기 때문에 혈당을 빠르게 올리고, 빠르게 떨어트려, 살을 잘 찌는 체질이 되게 만든다. 

김밥을 싸 본 사람은 알겠지만, 흰 쌀밥이 상당량 들어가고, 흰 쌀밥에도 간을 한다. 

이에 다양한 채소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을 보충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모든 채소에 간을 하고, 절임류인 우엉, 단무지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나트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참치, 달걀이 들어가기 때문에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기는 하다. 

결론적으로, 김밥이 문제가 되는 것은 탄수화물이 과다할 가능성과 나트륨이 너무 높다는 점인데, 집에서 김밥을 싸 먹을 때에는 간을 적게 하고, 밥 양을 줄이고, 채소, 달걀을 풍부하게 넣어서 먹는 방법이 있지만 맛은 떨어진다.

 

4. 떡국

떡국은 주로 설날에 먹는 음식이긴 하지만, 평소에도 떡 사리를 구비하여 떡국이나 떡만둣국을 해 먹는 경우가 있다. 

떡은 기본적으로 열량이 높고, 정제된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혈당을 빠르게 오르게 하고, 빠르게 떨어트리기 때문에 살을 잘 찌게 만든다. 

이와 함께 고기, 달걀, 채소 정도가 들어가기 때문에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열량과 나트륨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자주 먹거나 과하게 먹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오히려 떡 양을 줄이고, 만두를 추가해서 먹는 것이 낫다. 

 

5. 감자 조림  

감자는 그냥 삶거나 구워 먹어도 맛이 좋고, 가격도 저렴하며, 다양한 반찬을 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좋다. 

감자는 탄수화물이 높고, 쌀밥과 GI지수가 비슷하여, 흰 쌀밥과 함께 밥 반찬으로 먹으면 혈당을 빠르게 높이고, 빠르게 떨어트려서 살을 잘 찌는 체질이 되게 만든다. 

또한, 흰 쌀밥과 함께 먹으면 탄수화물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감자를 단순히 소금, 후추로 간을 해 먹는 것은 괜찮지만, 간장과 설탕을 넣어 조려 먹는 경우, 나트륨과 당 또한 높아진다. 

그래서 감자를 양파, 당근 등을 넣어서 소금, 후추로 볶아 먹는 것을 추천한다. 

결론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한식 메뉴들을 상당히 맛이 좋지만, 이렇게 다이어트와 건강 때문에 조심해서 먹어야 하는 메뉴들이 많이 있었다. 

물론 아주 건강한 사람이라면 상관이 없지만, 삼시세끼는 장기적으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나 크기 때문에 조금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이런 메뉴들을 한두번 먹는다고 해서 바로 건강에 적신호가 켜 지는 것은 아니다. 

다만, 메뉴들을 먹을 때 조심해서 먹어야 한다고 언급한 음식들은 집에서 조리할 때 소금, 설탕을 비롯한 양념류를 조금 덜 넣고, 탄수화물을 줄이고, 고기나 채소류를 더 많이 첨가해서 먹으면 된다. 

반응형

댓글